<사진 제공: 로지스팟㈜>
-국내 1위 디지털 통합 물류 서비스 기업 로지스팟, 30만 대 배차 중 미배차율 0%-B2B 디지털 물류 서비스 기업 중 최다, 산업단지 가장 많은 경기도에서 화물차의 상하차 비율 가장 높아
-다양한 물류 데이터를 통해 B2B 물류시장 구성원 모두에게 도움 되는 정보 제공할 것
국내 1위 디지털 통합 물류 서비스 기업 로지스팟㈜ (www.logi-spot.com 공동대표 박재용, 박준규)이 자사의 디지털 통합 물류 서비스를 통한 화물 운송차량의 누적 배차 대수가 ‘30만 대’를 돌파했다고 지난 8일 밝혔다.
로지스팟은 자체 디지털 화물 운송 플랫폼 및 전문 운영인력을 바탕으로 대형 화물 트럭부터 오토바이 퀵서비스까지 기업의 내륙 운송을 위한 통합 운송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디지털 화물 운송 플랫폼을 통해 화물 운송 차량 배차를 쉽고 편리하게 요청할 수 있도록 배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화물 차량 실시간 위치 정보, 운송 데이터, 정산 데이터 등 다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업과 화물 차량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최적의 운송 방안을 컨설팅하고 있다.
로지스팟은 지난 2016년 설립 이후 화물 운송 차량의 누적 배차 대수가 30만 대를 돌파하였으며, 이 기간 동안 미배차율 0%를 달성하고 있다.
이는 B2B 디지털 물류 서비스 기업 중 가장 많은 배차를 기록하는 수치이며, 로지스팟의 약 700여 기업 고객은 전화량을 최대 75%, 마감시간은 최대 90%까지 줄이면서 생산성과 업무 효율을 향상시키고 60%의 고객이 운송 최적화를 통해 물류비를 절감하고 있다.
약 30만 건의 누적 배차 건수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은 전국에서 산업단지가 가장 많은 경기도 지역으로 나타났으며, 화물차에 짐을 싣는 상차의 경우 전체 배차의 60% 이상을 차지하였다.
경기도에서 출발한 차량은 5톤 이하의 경우 서울, 충남, 인천, 부산의 순서로 많이 이동하였고, 5톤 이상의 차량은 서울, 인천, 경남의 순서로 많이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로지스팟은 물류 데이터를 기반으로 물류 환경의 변화와 기업 요구 사항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자일 로지스틱스 (Agile Logistics)를 실현하면서 기업과 차주, 운송사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가령, 경기도와 같이 배차량이 많은 곳은 화물 차량이 운송 후 돌아올 때 공차의 가능성이 낮아져 운임도 낮아지지만, 수요가 적은 곳은 공차 가능성 때문에 같은 거리라도 운임이 최대 2배까지 상승할 수 있다.
로지스팟은 배차량이 적은 지역의 운송을 원하는 경우 평소 배차 내역에 따라 책정한 투명한 운임으로 배차하고 운영팀이 차량을 미리 섭외하면서 운송 회피 지역에서의 배차 지연 문제도 해결하고 있다.
화물차량의 경우에는 하차 지역과 시간을 고려해서 예약 배차를 받아서 공차 구간에 대한 오더를 우선 매칭해서 운임 수익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로지스팟의 박재용 대표는 “디지털 통합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다양한 데이터를 축적하고 활용하고 있다. 끊임없이 변화하는 물류 환경에 국내 B2B 물류 시장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고, 물류 시장 전체를 발전시킬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들어갈 것이다”라고 전했다.
로지스팟㈜은 차별화된 IT 기술과 자체 디지털 화물 운송 플랫폼 및 전문 운영인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에게 내륙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 운송관리 서비스 (Managed Transportation Service) 회사이다.
기업들에게 운송 현황과 물류 프로세스를 진단해서 최적화된 운송 방안을 통합적으로 제시하고, 다양한 형태의 운송방법과 입출고 프로세스를 단일 채널에서 관리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으며, 국내 유일하게 운송 통합 관리, 입출고 관리, ERP시스템 연동 등 차별화된 기능을 바탕으로 다양한 고객의 업무 효율과 생산성을 높이면서 27조 원 내륙운송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현재, 퍼시스, 레노버, 한샘이펙스, 넥센타이어, 성지제강 등 700개 이상의 기업고객과 10만 여대의 화물차 네트워크를 운영하면서 미배차율 0%를 달성하고 있으며, 2017년 매출 42억, 2018년 매출 58억, 2019년 약 180억 원, 2020년 약 390억 원의 매출을 달성하면서 매년 평균 160%의 빠른 성장율을 보이고 있고, 올해는 약 1,000억원의 매출을 목표하고 있다.
2018년에 카카오벤처스, 스파크랩스 등으로부터 Series-A 투자 19억 원을 유치하였고, 2019년 10월에 알펜루트자산운용이 이끄는 Series-B 투자를 통해 100억 원을 유치하였으며, 2020년 ‘한국물류대상’ 국토교통부 장관상을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