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인더비즈니스템플릿지원프로그램인사이트기업가치분석
로그인
회원가입
  • 인사이트
  • 스페이스X 기업가치 740억 달러...일론 머스크의 혁신 전략

스페이스X 기업가치 740억 달러...일론 머스크의 혁신 전략

일론 머스크 게티이미지 제공

지구를 넘어 우주에 대한 관심이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퍼서비어런스 Perseverance(글쓴이 설명: 2020년 7월 30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발사한 화성 탐사 로버)가 화성에 성공적으로 착륙한 사실은 과학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소수의 사람들만 열광했습니다. 오히려 금융뉴스에서 나온 최근 소식이 우주에 대한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는데요. 그 소식은 바로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가 8억 5천만 달러를 투자 받았다는 소식과 기업가치가 740억 달러라는 소식입니다. 이 뉴스가 나온 후 반응은 명백히 갈렸습니다. 해당 밸류에이션이 타당하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있는 반면에 다른 분들은 8억 5천만 달러의 밸류에이션에 대해 의구심을 품게 되었습니다. 개인적인 의견은 전자에 조금 가깝지만 다른 의견도 이해가 가는 만큼 쉽게 확신할 수 있는 간단한 문제는 아니죠.
발사체를 가지고 사업을 얼마나 키울 수 있을까요? 인터넷 보급사업은 왜 하는 걸까요? 시중의 네트워크 유통사가 있는데 해당 인터넷 보급 사업이라는 서비스는 왜 필요할까요?

오늘은 위의 질문에 해답을 드릴 수 있는 일론 머스크의 전략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도록 하겠습니다.

무선 고속 인터넷

우리가 사용하는 무선 인터넷은 사실 무선이 아닙니다. 단말기 차원에서는 무선이지만 셀 수없이 많은 케이블들이 세상을 잇고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 차원에서는 무선이 아니죠. 이런 케이블을 설치하기에는 생각보다 제약이 많습니다.

금전적인 측면에서 보면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 위주로 케이블을 놓는 게 사업자 입장에서는 이득이 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인구밀도가 낮은 지역은 케이블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해외에서는 흔한 문제로, 인구밀도가 높다고 해도 자금적인 요건이 충족되지 않는다면 케이블을 두기 힘든 상황입니다. 따라서 현재 인터넷 제도는 매우 까다로운 시스템이죠. 미국만 보았을 때도 고속 인터넷이 없는 인구가 대략 4,200만 명으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1.https://www.pcmag.com/news/people-without-broadband-is-double-the-government-estimate).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고속 인터넷 보급률이 25% 밖에 되지 않습니다. (2. https://data.worldbank.org/indicator/IT.NET.USER.ZS?locations=ZG). 인터넷 보급률이 높은 한국과는 다르게 낮은 인터넷 보급률은 전 세계적으로 흔한 문제가 됩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이런 지역에 고속 인터넷이 보급이 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여건이 개선되어야 합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글은 프로젝트 룬 Project Loon(3.https://loon.com/)을 통해, 페이스북은 무인기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습니다 (4. https://techcrunch.com/2019/01/21/facebook-airbus-solar-drones-internet-program/). 인터넷 기업들이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이유는 매우 명확한데요. 인터넷 보급률을 높여서 자사 서비스 활용 유저 베이스를 늘리고 시장 사이즈를 키워나가 결국 매출을 높이겠다는 것입니다.

위성기반 인터넷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는 위에 언급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출시된 서비스 중 하나입니다. 이전 솔루션들은 지상에서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면 스타링크는 이 문제를 대기권 밖에서 해결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 출발한 서비스입니다. 기술적인 부분은 간단하게 2027년까지 42,000개의 인공위성을 기반으로 인터넷망을 구축하는 방식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5. https://www.businessinsider.com/spacex-starlink-internet-service-elon-musk-all-you-need-know-2021-2). 근거리 통신을 위해선 지구 저궤도에서 인공위성들이 포진이 될 예정이며, 장거리 통신은 지구 중궤도에 위치한 위성들이 징검다리 역할을 할 예정입니다 (이는 참고한 사항이라 사실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스타링크의 성공은 스페이스X의 성공과 다소 동떨어져 있어 보일 수 있습니다. 인터넷 보급률을 높여서 자사 서비스 활용도가 높아지는 건 아니니까요. 스페이스X의 주요 사업은 발사 대행입니다. 인터넷 보급률과 전혀 상관없습니다. 그럼 왜 스페이스X는 인터넷망 사업에 진출하고자 하는 걸까요?

이유는 스페이스X의 본 미션에 집중할 수 있도록 외부 투자에 의존하지 않아도 되는 상황을 만들기 위해서입니다. 일론 머스크가 실제로 2014년에 스페이스X를 상장시키지 않은 이유는 화성에 도시를 건립하고 싶어서라고 했었습니다 (6. https://www.bizjournals.com/washington/blog/fedbiz_daily/2014/09/elon-musk-says-he-wont-take-spacex-public-because.html). 이를 위해서는 외부 간섭을 최소화하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매출처가 불가피해진 것입니다.

기업가치의 근거

현대자동차 시총이 대략 53조 원입니다. 그리고 최근 인정받은 스페이스X의 기업가치가 한화로 대략 83조 원입니다. 30조 원 차이가 나는데요. 어떻게 2019년 기준 2조 원가량 매출 내는 회사가 105조 원 매출 내는 대기업의 가치를 넘을 수 있을까요?

시장의 규모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스타링크 인터넷을 활용하려면 현재 월 100달러가량의 서비스료가 발생합니다 (7. https://www.cnbc.com/2021/02/04/spacex-starlink-satellite-internet-service-has-over-10000-users.html). 현재 서비스가 도심에서 잘되지 않는 부분을 감안하여 이를 제외 하여도 전 세계 인구 32%(8.https://www.un.org/development/desa/en/news/population/2018-revision-of-world-urbanization-prospects.html)가 서비스 활용 가능합니다. 이를 반영하여 시장을 추산하면 대략 연간 62조 원의 시장이 나옵니다. 이 시장을 현재 스타링크를 비롯해 2개의 회사만이 공략하고 있으니 시장 기회가 매우 크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기술적인 부분만 입증이 된다면 스페이스X의 기업가치는 의심할 여지가 없지 않을까 싶습니다.

큰 문제를 해결하는 사업가

일론 머스크는 항상 큰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집착을 했습니다. X.com(추후 페이팔)을 처음 창업했을 때 머스크는 금융시장을 바꾸고자 창업을 했고 그 후 스페이스X를 창업했습니다. 테슬라는 초기 투자를 했다가 진행이 더뎌지자 자신이 대표로 들어간 케이스입니다. 또한 교통체증을 해결하고자 The Boring Company와 하이퍼 루프를 창업하기도 했습니다. 시장이 머스크를 좋아하는 이유는 돈을 잘 벌기 때문이 아닙니다. 오히려 머스크가 돈을 먼저 생각하기보다는 다른 미션에 집중한다는 점이 대중에게 멋지게 각인되었기 때문에 대중은 머스크의 비전에 공감하고 감명을 받고 있습니다. 인류의 발전을 위해 항상 노력하고, 인류의 미래를 항상 밝고 조금 더 빠르게 만들고자 노력하는 머스크를 보며 위안을 삼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때론 무엇을 하는지를 넘어 왜 하는 것인지 꼭 필요한 질문이 아닐까요?

참조 링크

  1. https://www.pcmag.com/news/people-without-broadband-is-double-the-government-estimate
  2. https://data.worldbank.org/indicator/IT.NET.USER.ZS?locations=ZG
  3. https://loon.com/
  4. https://techcrunch.com/2019/01/21/facebook-airbus-solar-drones-internet-program/
  5. https://www.businessinsider.com/spacex-starlink-internet-service-elon-musk-all-you-need-know-2021-2
  6. https://www.bizjournals.com/washington/blog/fedbiz_daily/2014/09/elon-musk-says-he-wont-take-spacex-public-because.html
  7. https://www.cnbc.com/2021/02/04/spacex-starlink-satellite-internet-service-has-over-10000-users.html
  8. https://www.un.org/development/desa/en/news/population/2018-revision-of-world-urbanization-prospects.html

※이 콘텐츠는 'nu 인사이트'입니다. nu 인사이트는 해외 스타트업 트렌드, 국내 스타트업 이슈 등 스타트업 관련 인사이트를 전달하는 넥스트유니콘(https://www.nextunicorn.kr) 콘텐츠입니다.
*문의: contact@nextunicorn.kr

https://contents.nextunicorn.kr/company/8321c787c52e83a3/profile-574c183abe17aa9g9fef497445de1fe0eae8.png?s=200x&t=cover

주식회사 넥스트유니콘

주식회사 넥스트유니콘은 스타트업과 전문 투자자들의 온라인 커뮤니티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회사
회사 소개인재 채용팀 블로그
서비스 안내
스타트업 서비스
전문투자자 서비스
티켓구매
티켓구매
주식회사 넥스트유니콘 l 대표자 장재용
l
개인정보책임관리자 장재용(nextunicorn@nextunicorn.kr)
사업자 등록 번호 139-87-00196
l
통신 판매 신고 번호제 2017-서울강남-04053 호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427, 8층 101호
l
nextunicorn@nextunicorn.kr l 070-8884-3333
|
©nextunicorn Inc. All rights reserved.
넥스트유니콘 서비스는 전문투자자와 스타트업이 자율적으로 서로에 대한 IR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는 플랫폼 서비스로,
주식회사 넥스트유니콘은 이를 중개하거나 자문하는 투자중개업 및 투자자문업을 영위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실제 투자계약, 투자손실의 위험 등에 대한 책임은 계약 당사자 각자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