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안내
과학기술 정책전공
[정책 및 사례연구]
・지역 특성화 분야 기술실용화 정책적 이론과 분석적 역량 기반을 기반으 로 정책을 실행하기 위한 문제 해결 지향적 교육
・과학기술정책, 커뮤니케이션, 기획평가론, 사례연구, 기초·원천 및 지역 R&D의 이해, 기초원천연구의 실용화(중개연구) 정책 등 과학기술에 대한 깊은 이해에 기초한 실용화 정책 전문가 육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과학기술 실무전공
[과학기술 실용화 역량 강화]
・ 공공연구성과의 실용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체계적인 접근방법을 제시할 수 있는 과학기술실용화 전문 교육과정 설계·운영
・ 특허관리, 기술마케팅 전략수립, 기술마케팅, 협상계약, 기술료 등 과학기술 실용화 전주기의 전문지식을 겸비한 전문인력 양성
[과학기술 실용화 특화 교육]
・ 친환경에너지, 스마트 제조 등 미래유망 분야 新모델에 대한 핵심 원천기술의 실용화‧산업화 교육 과정 및 커리큘럼 구성
・ 기업의 제조공정 프로세스 개선, 신제품 개발 등에 필요한 공공연구 성과(기술) 활용 촉진, 실용화를 통한 기업의 혁신성장을 주도하는 인재 양성을 목표
[실용화 프로젝트]
・ 학생, 교수, 컨소시엄 참여기관(또는 학생 소속 기관)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산학 공동 실용화 프로젝트 수행
・ (산학 공동 프로젝트) 기업의 수요 과제를 발굴하여 기술 분야별 전문교수와 기술실용화에 필요한 시작품 제작 지원 등 문제 해결
・ 리빙랩_캡스톤디자인 프로젝트 수행을 통한 지역사회 문제해결
과학기술 창업전공
[기술 창업・실용화]
・ 실무중심의 다학제적 창업교육 운영
기술-제품-시장 프로세스 전반에 대한 학제적(공학·경영학·법학) 창업교육 운영, 플립러닝·액션러닝 방식을 통한 창업 프로젝트 중심 수업 운영
・ 창업친화형 특화 교육과정 운영
디자인씽킹과 린스타트업 방식을 적용하여 대학원 과정 중에 아이디어를 실현가능한 사업계획으로 발전시켜 창업으로 단절 없이 이어질 수 있는 교육과정 운영
[창업 프로젝트]
・ 학생, 교수, 컨소시엄 참여기관(또는 학생 소속 기관)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창업 프로젝트 수행
・ (창업 프로젝트)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창업에 필요한 Business Model 개발 및 고도화, 창업에 필요한 시제(작)품 및 MVP(Minimum Viable Product) 개발을 지원
상기 일정은 내부사정으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진행과정
원서접수 →서류제출→구술시험→합격자발표
① 원서접수: 22.12.8(목)~12.15(목), 온라인
② 서류제출: 22.12.8(목)~12.15(목), 대학원입학팀 또는 우편제출
③ 구술시험: 23.1.3(화)
④ 합격자발표: 23.1.20(금)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