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인더
비즈니스템플릿
지원프로그램
인사이트
기업가치분석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홈
인사이트
#IP
#IP
트렌드 뉴스
12월 4주차 스타트업 투자동향 #마켓컬리 #차이코퍼레이션 #럭스로보
안녕하세요! 12월 4주차 NU’s 주간 투자동향 리포트입니다. 오늘 준비한 소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2월 넷째주 투자유치 총 41건, 금액 총 3,825.5억원 -‘마켓컬리’ 2,500억원 프리IPO 투자유치, 2022년 상장 예정 -핀테크 기업 ‘차이코퍼레이션’ 530억원 투자유치 -로봇 활용 코딩·인공지능 교육 ‘럭스로보’ 185억원 규모 프리IPO 투자유치 2021년 12월 넷째주(12월 20일~12월 26일) 스타트업 투자동향입니다. 12월 4주차에는 총 41건의 투자유치가 이루어졌는데요. ‘미디어/마케팅’ 분야가 총 12건(2021년 12월 4주차 전체 투자유치 건수 대비 약 30%)으로 가장 많이 투자받
주식회사 넥스트유니콘
트렌드 뉴스
디즈니는 다 계획이 있었구나?!
요즘 디즈니플러스에 대해 왈가왈부하는 사람들이 많아진 것 같습니다. 한글 자막이 별로다, 볼 콘텐츠가 별로 없다, 심지어는 탈퇴를 했다는 이들도 있는데요. 이런 이야기만 들으면 디즈니플러스가 디즈니의 실패로 보이는 것이 사실입니다. 실제 한 통계에 의하면, 디즈니플러스는 국내에서 DAU(일간 활성 사용자 수)가 출시일에 고점을 찍은 후 하향하는 반면, 넷플릭스는 동기간 우상향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1) 미국에서도 이야기는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3월 기준으로 작성된 한 글에 따르면 디즈니플러스는 넷플릭스에게 활성 사용자 수는 물론, 이용자별 활용 시간 역시 밀리고 있었습니다.(2) 약 8개월이 지난 지금
주식회사 넥스트유니콘
트렌드 뉴스
한국은 어쩌다 넷플릭스 전략의 중심이 되었나
그야말로 ⟨오징어 게임⟩ 광풍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센세이션을 일으키는 중인데요. ⟨기생충⟩의 아카데미 수상, BTS의 빌보드 1위와 함께 대한민국 문화사에서 역사적인 순간으로 기록되는 중입니다. 덕분에 우리나라는 물론, 우리 기업들과 국민들까지 크고 작은 수혜를 보고 있는데요, 어쩌면 가장 큰 수혜를 보는 건 대한민국 정부나 기업이 아닌 미국 기업 ‘넷플릭스’가 아닐까 싶습니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넷플릭스 위기론이 어렵지 않게 거론되고 있었습니다. 디즈니를 비롯한 콘텐츠 제작사들이 콘텐츠 스트리밍 권리를 회수하는 한편, 넷플릭스 오리지널 콘텐츠가 이전과 같이 호평을 받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에 넷플릭스의 황금기
주식회사 넥스트유니콘
법률 가이드
포에버21의 파산신청을 통해 본 지식재산권과 상표제도 1편
2019년 12월 미국 패션시장에서 한인 이민자들에게는 아메리칸드림의 상징이자 신화창조라고 평가받아 왔던 글로벌패션기업 ‘포에버21(FOREVER21)’이 100억 달러 상당(한화 약 12조 원 규모)의 기업부채를 감당하지 못해 결국 미국 법원에 파산 보호 신청을 접수한 사실은 다소 충격적이었다. 패션시장에서 어떤 기업보다도 성공했다고 평가받던 ‘포에버21’의 파산과 몰락은 국내외 패션시장에도 위기감을 던져 주기에 충분했던 것 같다. 미국 패션시장에서 다시 없을 한인 신화로 불리던 포에버21은 태동부터 남달랐다. 1984년 우리로 치면 미국의 동대문시장과 매우 흡사한 로스앤젤레스(LA) 디스트릭트 자바시장내의 볼품없는
주식회사 넥스트유니콘
법률 가이드
지식재산권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
IP권리, 사용 보다 먼저 권리자가 되기 위한 등록이 중요 원칙 지식재산권(IP)은 “인간의 지적 창작활동의 결과로 만들어진 모든 무형의 소산물에 대한 권리를 총칭하는 것”이라 정의된다. 전 세계적으로 혹은 우리나라에서 운영되고 있는 이런 지식재산권의 확보와 관리 방식 및 활용에는 몇 가지 큰 원칙이 있다. 따라서 우리 패션기업들과 최소한 관련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IP의 기본 원칙을 잘 이해한 상태에서 각 권리 별로 가진 특성과 장점을 철저히 고려해 자신에 맞는 적절한 사업으로의 활용 혹은 사용법을 알아 둘 필요가 있다. 지식재산권의 분류 IP를 굳이 분류하자면 특허권, 실용신안권, 상표권, 디자인권
주식회사 넥스트유니콘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