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인더
비즈니스템플릿
지원프로그램
인사이트
기업가치분석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홈
인사이트
#프로덕트 디자이너
#프로덕트 디자이너
팀 빌딩
“프로덕트 디자이너는 디자이너가 아니라 설계자가 되어야 합니다”
넥스트유니콘의 프로덕트 디자이너 제니(Jenny)입니다. 넥스트유니콘의 초기 서비스 기획과 MVP모델부터 시작해 지금까지, 넥스트유니콘의 유저경험을 극대화하기 위해 끊임없이 고민하며 프로덕트를 설계하고 있습니다. 저 역시 배우고 성장해야 하는 단계이지만, 지금까지 겪어온 수많은 시행착오를 통해 얻은 인사이트와 노하우를 정리해 공유하고자 합니다. 해당 콘텐츠를 통해 많은 프로덕트 디자이너 또는 예비 프로덕트 디자이너들과 함께 소통하고 의견을 나눌 수 있기를, 그리고 함께 성장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프로덕트 디자이너 채용공고 보러가기 프로덕트 디자이너(Product Designer, 이하 PD)는 해당 도메인 지식을 기반
주식회사 넥스트유니콘
제품 개발
제품을 개선하는 가장 쉽고 빠른 길, 구글 UX 라이터의 현실 노하우
UX 라이팅은 디지털 서비스 유저가 사용 목적을 이해하기 쉽도록 직관적이고 명료한 텍스트를 구성하는 방식입니다. 메뉴와 버튼의 문구부터 회원가입이나 계정복구 시 제공되는 글들까지 디지털 매체의 모든 부분에 UX 라이팅이 필요한데요. 이유는 바로 첫째도 유저, 둘째도 유저, 셋째도 유저, 유저의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서입니다. 오늘은 구글의 UX 라이터가 쓰고, 글로벌 기업의 UX 라이터들이 읽은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전략적 UX 라이팅⟫을 대신 읽어드리겠습니다. 베테랑 구글 UX 라이터의 현실 노하우 비대면 채널에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상당수가 복잡한 절차와 어려운 안내 메시지 등 ‘나쁜’ UX 라이팅 때문에 해
주식회사 넥스트유니콘
팀 빌딩
[Team Typed를 만나다] 디자인을 맡고 있는 공동창업자 이승민
안녕하세요, 승민님! 자기소개와 하시는 일의 소개 부탁드려요. 비즈니스캔버스에서 제품의 기획과 UI/UX 디자인을 담당하고 있는 프로덕트 디자이너 이승민입니다. 원래 기술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기술적으로 재미있는 시도를 하는 회사에 들어가고 싶었죠. 그래서 서울대학교 공업디자인학과 졸업 후, AI 스타트업에 창업 멤버로 들어가 디자이너로 커리어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그 후 사용자 중심 서비스를 만들고 싶어졌고 몇몇 스타트업을 거쳐 비즈니스캔버스에 합류하게 되었습니다. 어떻게 하다가 함께 창업까지 이르게 되셨나요? 우리나라를 넘어 전 세계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들고 싶었습니다. 그때 공동창업을 제안한
비즈니스캔버스
팀 빌딩
[Team Typed를 만나다] 타입드를 그려나가는 프로덕트 디자이너 김다슬
"남들에게 레퍼런스가 될 수 있는 서비스를 디자인하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다슬님!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드려요 저는 Typed 디자인팀에 입사한지 1년 정도 된 프로덕트 디자이너 김다슬입니다. 마케팅, 웹디자인 쪽 일을 하다가 프로덕트 디자인 분야에 매력을 느껴 Typed에서 프로덕트 디자이너로서의 첫 커리어를 시작하게 되었어요. 스타트업 디자인팀 어때요? 저도 주변에서 정말 많이 듣는 질문인데요.(웃음) 제가 면접 볼 때까지만 해도 1년이 채 되지 않은 스타트업이었던만큼 조금 걱정을 했었어요. 그래도 제품에 큰 매력을 느껴 일단 도전해보자는 마음으로 입사하였고, 우려했던 부분보다 온보딩 시스템이나 업무 프로세스도 잘 구
비즈니스캔버스
팀 빌딩
초기 스타트업에서 브랜딩하기 (2)
브랜드 리뉴얼 프로젝트의 시작 초기에는 BX Strategist와 Product Designer 둘이서 Typed의 모든 브랜딩과 디자인을 담당했습니다. 둘이서 작업해도 서로의 취향이 다르다 보니 결과물들이 약간씩 다른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고 Product Designer인 저의 입장에서는 초반에 만들어둔 브랜딩을 프로덕트에 적용하기가 어려웠습니다. 새로운 Product Designer와 Marketer가 합류하면서 브랜드 재정립의 필요성은 점점 커져갔습니다. 프로덕트가 더 복잡해지기 전에, 마케팅이 더 진행되기전에 방향성을 다시 돌아볼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Black&White'라는 큰 틀은 있었지만 서로 다른 이미
비즈니스캔버스
팀 빌딩
프로덕트 디자이너로서 기획하고 디자인하기, 그리고 함께 더 잘하기
안녕하세요. 저는 마이리얼트립에서 프로덕트 디자이너로 일하고 있는 설자현입니다. 마이리얼트립의 프로덕트 디자이너는 서비스의 웹, 앱 UI 디자인뿐 아니라 문제 정의, 해결 방안에 대해서도 PO(Product Owner)와 함께 기획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디자이너들과도 의견을 나누며 기획과 디자인 결과물을 더 견고하게 만듭니다. 이렇게 한 프로젝트에서 디자인 결과물이 실 서비스에 반영되기까지 여러 사람들과 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데요. 다른 회사들은 이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매우 궁금했던 한 사람으로서 저와 같은 분들을 위해 마이리얼트립은 어떻게 하고 있는지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구체적으로 기획 시 어
마이리얼트립
1
2